반응형
산업재해로 인한 심리적 충격을 극복하고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산재 및 장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정과 사회 복귀를 돕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내용
1. 심리상담 서비스
- 의료기관에서 다차원 심리검사를 지원.
- 전문기관을 통한 집중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.
2. 희망 찾기 및 사회 적응 프로그램
- 희망 찾기 프로그램: 4회기 또는 6회기의 심리 안정 프로그램 제공.
- 사회 적응 프로그램: 심리 안정, 사회 참여, 직업 능력을 지원하는 1~3개월 간의 프로그램.
3. 재활스포츠 지원
- 1인당 월 10만 원 한도로 3개월 간 재활스포츠 비용 지원.
4. 취미 활동반
- 1인당 월 8만 원 한도로 취미 활동 실비 지원.
5. 멘토링 프로그램
- 멘토 활동비 및 교통비, 식대 지원.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대상
1. 심리상담 서비스
- 산재 노동자.
- 유족연금수급자격자.
- 간병급여 및 상병보상연금 수급권자의 배우자 또는 자녀.
2. 희망 찾기 프로그램
- 입원 또는 통원 중인 산재 노동자.
3. 사회 적응 프로그램
- 장해등급 제1~14급 판정을 받은 자(장해판정 후 5년 이내).
- 2년 이상 통원 요양 중인 자.
4. 재활스포츠
- 치료 종결이 임박한 통원 요양환자 중 장해가 예상되는 사람.
- 산재 장해인(장해등급 제1~14급).
5. 취미 활동반
- 진폐증 등 진행성 질병으로 입원 요양 중인 산재 노동자.
6. 멘토링 프로그램
- 사회심리 재활이 필요한 자.
- 잡코디네이터나 사회복지사 추천을 받은 자.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신청 방법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신청 기한
- 예산의 범위에서 수시 모집.
신청 절차
- 근로복지공단 해당 지사를 방문하거나 우편, 팩스를 통해 신청.
- 필요한 구비서류 제출.
구비 서류
- 공통 서류: 사회심리 재활 프로그램 신청서.
- 사업별 서류:
- 심리상담: 심리상담 비용청구서, 출석확인 카드 등.
- 희망 찾기 프로그램: 사업계획서, 진행일지, 운영비용 청구서 등.
- 사회 적응 프로그램: 사업계획 승인서, 지원금 지급 신청서 등.
- 재활스포츠: 지원금청구서, 출석관리대장 등.
- 멘토링: 활동 비용 청구서 등.
자세한 사항은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또는 관할 지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근거 법령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문의처
- 소관기관: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 산업안전보건정책관 산재보상정책과.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은 심리적 안정과 더불어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입니다. 이 프로그램은 산재로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동기를 제공합니다. 적합한 지원을 받기 위해 조건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신청해보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