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신청 안내

반응형

산업재해로 인한 심리적 충격을 극복하고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산재 및 장해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정과 사회 복귀를 돕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신청 안내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 내용

1. 심리상담 서비스

  • 의료기관에서 다차원 심리검사를 지원.
  • 전문기관을 통한 집중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.

2. 희망 찾기 및 사회 적응 프로그램

  • 희망 찾기 프로그램: 4회기 또는 6회기의 심리 안정 프로그램 제공.
  • 사회 적응 프로그램: 심리 안정, 사회 참여, 직업 능력을 지원하는 1~3개월 간의 프로그램.

3. 재활스포츠 지원

  • 1인당 월 10만 원 한도로 3개월 간 재활스포츠 비용 지원.

4. 취미 활동반

  • 1인당 월 8만 원 한도로 취미 활동 실비 지원.

5. 멘토링 프로그램

  • 멘토 활동비 및 교통비, 식대 지원.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 지원 대상

1. 심리상담 서비스

  • 산재 노동자.
  • 유족연금수급자격자.
  • 간병급여 및 상병보상연금 수급권자의 배우자 또는 자녀.

2. 희망 찾기 프로그램

  • 입원 또는 통원 중인 산재 노동자.

3. 사회 적응 프로그램

  • 장해등급 제1~14급 판정을 받은 자(장해판정 후 5년 이내).
  • 2년 이상 통원 요양 중인 자.

4. 재활스포츠

  • 치료 종결이 임박한 통원 요양환자 중 장해가 예상되는 사람.
  • 산재 장해인(장해등급 제1~14급).

5. 취미 활동반

  • 진폐증 등 진행성 질병으로 입원 요양 중인 산재 노동자.

6. 멘토링 프로그램

  • 사회심리 재활이 필요한 자.
  • 잡코디네이터나 사회복지사 추천을 받은 자.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신청 방법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 신청 기한

  • 예산의 범위에서 수시 모집.

신청 절차

  1. 근로복지공단 해당 지사를 방문하거나 우편, 팩스를 통해 신청.
  2. 필요한 구비서류 제출.

구비 서류

  • 공통 서류: 사회심리 재활 프로그램 신청서.
  • 사업별 서류:
    • 심리상담: 심리상담 비용청구서, 출석확인 카드 등.
    • 희망 찾기 프로그램: 사업계획서, 진행일지, 운영비용 청구서 등.
    • 사회 적응 프로그램: 사업계획 승인서, 지원금 지급 신청서 등.
    • 재활스포츠: 지원금청구서, 출석관리대장 등.
    • 멘토링: 활동 비용 청구서 등.

자세한 사항은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또는 관할 지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.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 근거 법령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 문의처

  • 소관기관: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 산업안전보건정책관 산재보상정책과.

산재근로자 사회심리 재활 지원은 심리적 안정과 더불어 사회 복귀를 돕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입니다. 이 프로그램은 산재로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희망과 동기를 제공합니다. 적합한 지원을 받기 위해 조건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신청해보세요.

 

반응형